안녕하세요. 취업한 공대누나입니다.
오늘은 배열과 문자열의 개념에 대한 공부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자열은 말 그대로 문자가 여러 개 있는 것을 뜻합니다.
이것을 담아 두기 위해서 우리는 배열을 사용합니다.
그림으로 예를 들어서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선언과 초기화
선언과 초기화는 아래와 같이 진행합니다.
char name[4] = {'G', 'D', 'N', 'N'};
name은 배열의 이름이고 4는 배열의 크기를 뜻하게 됩니다.
맨 앞에 char형으로 선언했기 때문에 char형 공간이 4개가 생기게 됩니다.

그러면 name[0] 이라는 곳에 G가
name[1] 라는 곳에 D가
name[2] 라는 곳에 N이
name[3] 라는 곳에 N이 들어가게 됩니다.
총 4개의 공간을 선언한 것으로 0부터 3까의 공간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4라고 해서 4까지의 공간이 만들어 지는 것이 아님을 주의해주세요.

배열 하나 하나의 값을 출력해 보았습니다.
GDNN이 잘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사진에서처럼 배열을 선언하고 초기화 할 수도 있습니다.
배열의 크기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배열의 크기는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결정이 됩니다.
또한 배열에서 특정 문자만도 변경할 수 있습니다.

2. strcpy_s
문자열 변수에 값을 대입할 때 =은 초기화 할 때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후의 경우에서는 모두 strcpy_s라는 함수를 사용하여 대입해야 합니다.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우선 strcpy_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string.h라는 헤더 파일을 인클루드 시켜줘야 합니다.
string.h에는 문자열을 조작하는 표준함수들이 있습니다.
strcpy_s(배열이름, "입력할 문자열");
아래 그림에서 예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 하나 더 배울 수 있는데요.
우리는 문자열을 출력할 때 %s를 사용하면 됩니다.
3. strlen
strlen은 문자열의 길이를 얻을 때 사용하는 함수입니다.
사용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strlen(배열이름);
저는 우선 문자열의 길이를 저장시킬 변수 하나를 선언하였습니다.
그리고 길이를 얻을 배열을 ()안에 입력하면 됩니다.
printf로 출력했을 때 4라는 값이 잘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배열과 문자열, 그리고 새로운 함수를 사용해보았습니다.
예제를 따라하시고 함수를 이용하여 다양한 문자열을 만들어보세요.
C언어는 직접 소스 코드를 입력하고 작성하며 오류를 고쳐봐야 실력이 늘게 됩니다.
물론 저도 현재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배우고 있습니다.
모두들 실력 많이 업그레이드 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