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42) 썸네일형 리스트형 [C++ 독학하기] 6. 디폴트 매개변수란? 안녕하세요. 취업한 공대누나입니다. 오늘은 디폴트 매개변수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고 소스 코드에서 차근차근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디폴트 매개변수 우리 함수에 대해 공부를 할 때 함수를 호출하던 부분을 기억하시나요? 함수를 호출하기 위해서는 매개변수의 값을 적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Add(1,2);와 같은 형식으로 말이죠. 하지만 C++의 경우 디폴트 매개변수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아래 소스부터 보도록 하겠습니다. default_test라는 함수의 test라는 매개변수의 초기값이 100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함수는 해당 매개변수를 그대로 리턴을 하는 함수입니다. 첫번재 출력 구문을 보면 실인수를 생략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결과창에는 디폴트 값인 100이 그대로 출력되게 됩니다. 즉 이와 같이.. 직장인 경제 공부 - S&P500이란? 안녕하세요. 취업한 공대누나입니다. S&P500이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나요? 저는 경제에 관심을 가진지 얼마 되지 않아서 불과 3~4개월 전에 알게 되었는데요. 한 번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S&P500이란? 우선 S&P라는 뜻은 Standard and Poors의 약자로 신용 평가기관으로 유명한 곳입니다. 이 '스탠다드&푸어'사에서 집계하고 있는 500개 기업에 대한 지수인데요. 500개의 대형기업의 주식을 포함한 지수이며 대부분이 미국 기업입니다. S&P500은 지수 자체를 일컫기도 하고 지수에 포함된 500개 기업 자체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간단하게 하면 뉴욕증권거래소와 나스닥에 상장된 주식 중에 500대 대기업의 주식을 집계한 지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수 산정에 포함되는 종목은 .. [C++ 독학하기] 5. 범위 기반 for문 안녕하세요. 취업한 공대누나입니다. 오늘은 C++에 새로 생긴 범위 기반 for문에 대해서 공부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도 처음 접해보는 것이라 정말 새로운 문법이었는데요. 우리가 일반적으로 쓰던 for문과는 무엇이 다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범위 기반 for문 예전에 for문에 대해 배운것을 기억하시나요? for문은 대부분 일정 '횟수'를 중심으로 반복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보통 배열 자료구조에 접근할 때 for문을 자주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배열의 요소가 선언할 때 확정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만약 배열 요소의 개수를 변경해야 한다면 for문도 수정을 해야합니다. 하지만 범위 기반 for문으로 작성을 하게 되면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범위 기반 for문은 C++11에서 공식적으로 추가되었.. 직장인 경제 공부 - 4대 보험이란? 안녕하세요. 취업한 공대누나입니다. 오늘은 4대 보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흔히 4대 보험에 가입되어 있다. 이런 말은 많이 들어보았지만 저처럼 자세히 모르는 분들도 꽤 많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번 기회에 한 번 제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4대 보험이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을 우리는 4대보험이라고 합니다. 정부가 관리하는 의무가입 보험으로 근로자의 권익 보호를 위한 것입니다. 근로자가 1명만 있어도 반드시 가입해야 합니다.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은 사업주와 근로자가 일정률을 나눠서 부담하게 됩니다. 개인은 본인의 것만 내면 되지만 사업주의 경우에는 직원들의 보험료를 전부 부담해야 하므로 직원이 늘어나게 되면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주 15시간 미만 근로자.. [C++ 독학하기] 4. 참조자(Reference)의 개념 안녕하세요. 취업한 공대누나입니다. 오늘은 참조자의 개념에 대해서 소스 코드와 함께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참조자(Reference)란? 참조형 변수라고도 합니다. 변수는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우리는 이 이름을 가지고 해당 메모리 공간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참조자는 할당된 하나의 메모리 공간에 다른 이름을 붙이는 것을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별명을 붙이는 것입니다. 참조자가 처음 어떤 변수와 짝을 이루게 되면 그 짝이 달라지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즉, 한번 초기화되고 나서는 다른 변수를 참조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원래 변수를 이름이라고 하고 참조자를 별명이라고 하면 아래와 같은 형식을 갖게 됩니다. 형식 &별명 = 이름 그렇다면 예제를 통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처음에 .. 직장인 경제 공부 - 채권이란? 장내채권, 장외채권 안녕하세요. 취업한 공대누나입니다. 오늘은 채권이라는 금융 상품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기초지만 나름 자세하게 다루었습니다. 이번에도 또한 박곰희TV채널에 있는 내용을 토대로 공부를 진행한 것입니다. 영상을 보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에서 참고해주세요. www.youtube.com/watch?v=WJPZ2GuyM2w 다른 금융상품에도 관심 있으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1. 직장인 경제 공부 - 퇴직연금 (DC형 DB형 IRP) 2. 직장인 경제 공부 - 리츠란? 3. 직장인 경제 공부 - CMA란? 4. 직장인 경제 공부 - RP, MMF, 발행어음이란? 5. 직장인 경제 공부 - ETF란? 6. 직장인 경제 공부 - IRP(개인형 퇴직연금)란? 7. 직장인 경제 공부 - 펀드란? .. [C++ 독학하기] 3. new와 delete 연산자에 대한 개념 안녕하세요. 취업한 공대누나입니다. 오늘은 new와 delete의 개념에 대해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할당에 대한 개념을 먼저 잡고 들어가겠습니다. 1. 개념 new와 delete는 C++에서 객체를 동적 할당하고 해체하는 '연산자'입니다. C++에는 세 가집 타입의 메모리 할당이 있습니다. 1) 정적 메모리 할당(static memory allocation)은 정적 변수와 전역변수에 대해 발생하는 것으로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한 번 할당되며, 프로그램 수명 내내 지속하게 됩니다. 2) 자동 메모리 할당(auto memory allocation)은 함수 매개변수와 지역 변수에 대해 발생하는 것으로 이러한 타입의 변수에 대한 메모리는 관련 블록을 입력할 때 할당되고, 블록을 종료할 때 필요에 따라 여러 .. 직장인 경제 공부 - 국민연금이란? 안녕하세요. 취업한 공대누나입니다. 월급명세서를 보면 매달 빠져나가는 국민연금 이 국민연금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계신가요? 연금이라고 하니 노후를 대비하는 것이라고 추측할 수는 있는데요. 한 번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 역시 유투버 채널 박곰희TV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영상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봐주세요. www.youtube.com/watch?v=0qSMwt0PT0w 1. 우리의 노후대비 우리는 평생 일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돈을 벌고 있을 때 조금이라도 젊을 때 미리 노후 대비를 해야 합니다. 노후에 적은 돈이라도 지속적으로 현금이 내게 유입될 수 있게끔 미리 준비를 하는 것인데요. 총 3개의 연금으로 노후 대비를 할 수 있습니다. 연금 저축 펀드, IRP와 같은 ..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43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