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342)
LED 회로 설계 따라해보기 안녕하세요. 취업한 공대누나입니다. 오늘은 LED 회로 설계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혹시나 저처럼 집에 LED, 브레드보드, 아두이노 보드 등이 있다면 따라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LED 회로 설계하기] LED와 같은 소자는 소자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LED의 밝기를 결정하게 됩니다. 그래서 원하는 밝기를 내기 위해서는 전류의 값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하는데요. 그러면서도 너무 많은 전류를 LED에 흘려줄 경우 LED가 소손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인터넷에서 아무렇게나 LED 데이터 시트를 검색해서 한 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Maximum이라고 나와 있는 데이터 시트에서 우리가 주요하게 봐야할 부분은 Forward Current입니다. Forward Current는 ..
[직장인 경제 공부] - ISA란? 안녕하세요. 취업한 공대누나입니다. 오늘은 ISA 계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도 역시 제가 좋아하는 유투버 박곰희TV님의 영상의 내용을 토대로 정리 해보았습니다. 영상을 보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www.youtube.com/watch?v=ofB0-K1S8Rc 1. ISA 계좌란? Individual Savings Account의 약자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라고도 합니다. 서민들의 재산형성을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세제 혜택이 있는 계좌입니다. 위탁 계좌와 비슷하다고 생각하셔도 괜찮은데요. ISA계좌를 개설하고 ISA에서 펀드나 리츠 등을 매수하는 것입니다. 웬만한 투자는 모두 다 가능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알아서 투자하고 세금을 깎아주는 것입니다. 또한 ISA에서 ..
[C++ 독학하기] 12. this 포인터 안녕하세요. 취업한 공대누나입니다. 오늘은 자기 자신을 가리키는 this포인터에 대한 공부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this 포인터 this 포인터는 클래스의 실제 인스턴스에 대한 주소를 가리키는 포인터입니다. 클래스의 멤버 함수를 호출할 때 어떻게 호출할 때에도 이 this라는 포인터를 이용해서 객체를 찾을 수 있는 것입니다. 예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예제를 실행하면 st1의 Print_studentst1을 실행시켜야 하는 것을 알고 이를 참조하는데요. 사실 st1.Print_student()는 인수 없이 함수를 호출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사실은 st1.Print_student(&st1)처럼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 주소가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을 뿐 존재하고 있으며 첫 번째 매개변수로..
[주린이의 주식 공부] - EV / EBITDA 안녕하세요. 취업한 공대누나입니다. 오늘은 순수하게 영업으로 벌어들인 이익으로 기업의 가치를 알아내는 지표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EBITDA Earnings Before Interest, Tax,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은 세전 영업이익에 감가상각비 등 비현금성 비용을 합한 것으로서, 세전 기준 영업현금흐름을 나타냅니다. Tax : 세금 Interest : 이자 Depreciation : 감가상각비 Amortization : 무형자산 상각비입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세금과 이자, 감가상각비등을 차감하기 전의 순이익을 말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즉 기업의 현금 창출 능력을 말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손익계산서를 작성할 때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차감하여 매출 총이익을 만듭니..
[C++ 독학하기] 11. 생성자와 소멸자 안녕하세요. 취업한 공대누나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클래스를 초기화 해주는 생성자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생성자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C++ 독학하기] 10. 생성자 오늘은 생성자와 소멸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생성자와 소멸자는 클래스 객체가 생성되거나 소멸될 때 자동으로 호출되는 함수입니다. 객체가 생성되는 시점에는 생성자를 호출하고 소멸되는 시점에는 소멸자를 호출하게 됩니다. 이러한 디폴트 생성자와 소멸자는 우리가 만들지 않아도 컴파일러가 알아서 만들어 넣어줍니다. 한 번 예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자동으로 호출되는 생성자와 소멸자 왼쪽의 위에 있는 TEST()는 생성자를 ~TEST()는 소멸자를 나타냅니다. 즉 소멸자는 클래스 이름과 같아야 하고 앞에 ~를..
[주린이의 주식 공부] - EPS와 PER 안녕하세요. 취업한 공대누나입니다. 오늘은 주식 관련 용어인 EPS와 PER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PS와 PER은 기업의 가치와 주가 수준을 알 수 있게 해주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1. EPS란? Earning Per Share의 약자로 주당 순이익을 말합니다. 당기순이익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것으로 주식 1주가 1년간 벌어들이는 순이익금을 나타냅니다. 아래 표는 삼성 전자의 EPS를 캡처한 것인데요. 왼쪽부터 차례대로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입니다. 즉 2018년에는 한 주당 1년동안 6024원의 돈을 벌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입니다. 만약 EPS가 -라면 기업이 손실을 보고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당연히 EPS는 높을 수록 좋습니다. 더 많은 돈을 벌어왔다는 의미가 됩니다..
[C++ 독학하기] 10. 생성자 안녕하세요. 취업한 공대누나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클래스에 대해 공부를 했었는데요. 오늘은 생성자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1. 생성자 (Constructor)란? 클래스를 정의한 후 객체를 생성하게 되면 메모리에 할당이 되게 됩니다. 이 때 멤버 변수들은 초기화되지 않은 상태라서 사용할 수가 없는데요. C++에서는 객체의 생성과 동시에 멤버 변수를 초기화 해주는 생성자 함수가 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생성자를 이용해서 보다 쉽게 객체를 선언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생성자는 일반적으로 클래스의 멤버 변수를 적절한 기본값 또는 사용자 제공 값으로 초기화 할 때 사용합니다. 또한 외부에서 클래스를 생성함과 동시에 사용해야 하므로 public 영역에 만들어야 합니다. 생성자를 이용하는 함수에는 중요한 ..
[주린이의 주식공부] - ROA, ROE 안녕하세요. 취업한 공대누나입니다. 오늘부터는 주식 관련 여러 가지 용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워렌버핏은 "ROE가 높은 기업을 주목하라. ROE 15% 이상을 매년 유지할 수 있다면 주요 투자대상이 될 수있다." 라고 말했다고 하는데요. 과연 워렌 버핏이 주요 지표로 언급한 ROA와 ROE는 무엇일까요? 우선 간단하게 말해서는 얼마를 투자해서 얼마를 벌었냐에 대한 개념이라고 이해하고 아래 글을 읽어주시면 훨씬 편합니다. 1. ROA (Return On Assets) 기업 수익률이라고도 하고 총자산수익률이라고도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총 자산은 주주 자본 뿐만 아니라 차입 자본을 합친 것입니다. 즉, 대출이나 투자등의 자본을 합친 총 자산을 기준으로 산출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내 자본 100원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