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자 공학

(169)
[C언어 독학하기] 18. 구조체란? struct, typedef 안녕하세요. 취업한 공대누나입니다. 오늘은 구조체에 대해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구조체란? (의미와 선언 방법) 구조체는 사용자가 정의해서 사용하는 사용자 정의 자료형입니다. 하나 이상의 변수들을 그룹화하여 새로운 자료형을 만드는 것입니다. 구조체를 정의한다는 것은 구조체를 만든다는 의미와 같습니다. 어떻게 구조체를 만드는지 보도록 하겠습니다. struct라는 키워드가 바로 구조체의 시작을 알리는 부분입니다. computer라는 이름의 구조체를 정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중괄호 안에 변수를 선언해줍니다. 구조체에 의해 정리된 요소를 우리는 멤버라고 부릅니다. 다 선언을 한 뒤에 세미콜론을 꼭 해줘야 하는 것 잊지 마세요. 일반적으로는 위와 같이 main 함수 바깥에 선언하지만 이것은 어떻게 사용하..
부스트 컨버터 (Boost-Converter)란? 안녕하세요. 취업한 공대누나입니다. 지난 번에는 Buck-Converter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에는 대표적인 승압 컨버터인 Boost Converter에 대해 보겠습니다. 어떻게 동작하는지 회로와 수식으로 간단하게 이해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부스트 컨버터는 DC-DC 컨버터의 일종으로 전압을 승압시켜줍니다. 입력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것입니다. 1. Boost-Converter의 ON 부스트 컨버터의 회로는 위와 같습니다. 강압 컨버터인 Buck Converter와 비교했을 때 스위칭 소자의 위치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치만 다를 뿐인데 하나는 전압을 높여주고, 하나는 전압을 낮게 만든다는 것이 놀랍습ㄴ디ㅏ. 위와 같이 ON 상태일 경우 스위치의 이론상 저항은 0..
[CMOS] CMOS란? 안녕하세요. 취업한 공대누나입니다. 오늘은 CMOS 소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CMOS란?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의 약자로 상보적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뜻합니다. 일반적으로 '씨모스'라고 읽습니다. 주로 마이크로프로세서나 SRAM, 이미지 센서 등의 집적회로를 구성하는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CMOS는 MOSFET 소자로서 PMOS와 NMOS가 상보적 대칭으로 사용되는 공정을 의미합니다. PMOS와 NMOS의 단점을 상쇄시키고, 장점만을 활용하여 좋은 특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NMOS와 PMOS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일까요? 증가형 NMOS의 경우 Gate에 +전압을 인가하게 될 경우 ON이 됩니다. 이 때, 소스 단자로 들어오는..
팬 아웃(Fan-out)이란? 안녕하세요. 취업한 공대누나입니다. 오늘은 팬아웃에 대해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학부생 때 배웠던 것도 같은데 히얀하게 기억이 하나도 나지 않더라구요. 회사 다니면서 초반에 팬 아웃을 신경써야 될거야 라고 상사 분 한명이 말씀해주셔서 팬아웃이 뭐였지 하고 찾아보고 공부했던 기억이 나서 다시 정리를 해보게 되었습니다. 1. Fan out이란? Fan out이란 논리 회로에서 하나의 논리 게이트의 출력이 얼마나 많은 논리 게이트 입력으로 사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회로에서 널리 사용되는 TTL이나 CMOS와 같은 표준 논리소자들은 1개의 출력 신호에 접속할 수 있는입력 신호의 수에 제한이 있습니다. 출력단에 최대로 흐를 수 있는 전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팬 아웃이 크다는..
벅 컨버터 (Buck-Converter) 안녕하세요. 취업한 공대누나입니다. 오늘은 Buck-Converter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떻게 동작하는지 회로와 공식을 통해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벅 컨버터는 DC-DC 컨버터의 일종으로 전압을 강압시켜줍니다. 입력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필요할 때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런 강압을 하기 위해서는 제너 다이오드를 사용해도 되지만 이들은 줄어든 전압을 열로 소비하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전압 변환 손실이 적어야 하는 경우 사용하기에 적절한 회로입니다. 1. Buck-Converter의 ON 우선 벅컨버터의 회로도는 위와 같습니다. 보시면 아시다시피 회로 구성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위와 같이 ON상태일 경우 인덕터를 통해 부하에 전류가 흐르며 인덕터에도 에너지가 저장됩니다..
엔코더란? 안녕하세요. 취업한 공대누나입니다. 이번에 회사에서 엔코더 관련해서 수정 작업할 일이 생겨서 제대로 공부해보고자 포스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1. 엔코더(Encoder)란? 회전 운동이나 직선 운동을 하는 물체의 위치와 속도의 정보를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센서를 말합니다. 정밀한 움직임의 위치를 피드백 받아서 제어를 할 수 있는 장치로 모터의 회전 속도, 회전 방향등을 알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모터의 움직임을 PWM을 이용하여 제어를 하게 됩니다. 하지만 PWM을 인가해도 모터마다 조금씩 다르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를 피드백하기 위해서 엔코더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2. 엔코더의 종류 물체의 움직이는 운동 방식에 따라서 로터리 엔코더와 리니어 엔코더로 분류합니다. 회전 운동 검출용으로는 로..
써모커플(Thermocouple) 열전대 온도 센서 안녕하세요. 취업한 공대누나입니다. 오늘은 써모커플 온도 케이블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이번에 제가 맡은 업무 중 하나가 특정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인데요. 사실 온도 IC와 온도 케이블을 이용해서 온도만 측정하면 되기는 하지만 온도 케이블의 원리도 궁금하고 그렇더라구요. 같이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열전대란?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을 연결하고 일정 온도에 노출 시켰을 때 달라지는 전류를 토대로, 전류 값에 따라 온도를 변환시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 입니다. 실제로 온도 케이블을 보게 되면 위의 그림과 같이 생겼습니다. 한쪽 끝은 두 끝을 납땜하여 사용하고 다른 한쪽은 온도 센서의 T-, T+부분에 연결시킵니다. 금속 종류/조합에 따라 발생하는 기전력을 장치와 연결하..
인증-EMC란?(4) EMS에 대해 안녕하세요. 취업한 공대누나입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 EMS 테스트에 대해 마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시간에 ESD와 RS, CS에 대해 대략적으로 살펴보았고 2020/11/29 - [전자 공학/기타] - 인증-EMC란?(3) EMS에 대해 오늘은 Busrt, Surge, 전압변동 시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4) Burst 전기적 빠른 과도현상/버스트 내성시험입니다. 전기적 빠른 과도현상에 대한 전자기기의 내성을 규정하는 시험입니다. 전자기기를 사용하는데 일정한 자기장이나 불규칙한 전계에 노출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도 정상적인 동작을 해야 합니다. 어느 한정된 수의 특정 펄스로 이루어진 펄스를 일정한 시간 동안 반복을 해서 제품에 인가를 하게 됩니다. 자세한 기준은 아래 표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