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

직장인 경제 공부 - 증자와 감자

반응형

안녕하세요. 취업한 공대누나입니다.

오늘은 주식에서 사용하는 주요 용어에 대한 공부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회사의 자본금은 늘어날 수도 줄어들 수도 있는데요.

늘어나는 경우 증자라고 하고, 줄어드는 경우 감자라고 합니다.


1. 증자 (Increase of Capital)

증자는 기업이 주식을 추가로 발행해서 '자본금을 늘리는 것'을 말합니다.

증자에는 크게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새로 발행하는 주식을 돈을 받고 팔면 유상증자라고 하고, 돈을 받지 않고 공짜로 주면 무상증자라고 합니다.

 

1) 유상증자

유상증자(paid-in capital increase)는 기업이 돈이 필요할 때 주식을 추가상장을 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입니다. 

그렇다면 좋은 것일까요? 나쁜 것일까요?

좋을 수도 나쁠 수도 있습니다.

기존에 주식을 보유했던 주주 입장에서는 전체 주식수가 늘어나니 내가 주식을 더 사지 않으면 전체 지분율 자체가 줄어들게 됩니다. 즉 자신이 가지고 있던 주식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증권시장이 상승세를 타고 있을 때에는 수익률이 높아질 수도 있습니다.

 

2) 무상증자

무상 증자는 말 그대로 대가를 받지 않고 주주에게 주식을 나눠주는 것입니다.

즉 주식수가 늘어난 만큼 주식의 가치가 감소하게 됩니다.

대가를 받지 않기 때문에 기업의 자산에는 영향이 없는데 왜 진행하는 것일까요?

우선 기업이 주주들에게 주식을 공짜로 나누어주기 때문에 주주들에게 좋은 이미지를 줄 수 있습니다.

또한회사의 잉여금을 자본금으로 옮긴다는 것은 회사의 잉여금이 많다는 의미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신뢰를 가질 수 있게 됩니다.

 

권리락이란?

무상증자 이전에 주가를 낮추어 증자 전 수익률과 비슷하게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1000원짜리 주식을 10주를 내가 갖고 있는데 5주를 무상으로 증자 받았다고 해봅시다.

그러면 나는 갑자기 15000원의 가치를 갖고 있는 주식을 소유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안되기 때문에 보유 주식수가 늘어도 수익률을 증자 이전과 맞추는 것입니다. 


2. 감자 (reduction of capital)

감자는 반대로 기업의 규모를 축소하거나 합병할 때 자본금을 줄이는 것을 말합니다.

여러가지 사유가 있겠으나 일반적으로는 회사를 정리하거나, 분할, 합병등의 목적이 있습니다.

 

1) 유상감자

유상감자는 주주에게 현금을 돌려주고 주식수를 줄이는 것을 말합니다.

자본금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 자본금의 규모를 적절하게 줄임으로써 기업 가치를 향상시키고 주가를 높이게 됩니다.

 

2) 무상감자

무상감자는 아무런 대가 없이 주식수를 줄이는 것을 말합니다. 

주주는 아무런 보상을 못 받기 때문에 엄청난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투자자가 보유한 지분의 총 가치가 변함이 없습니다.

발행 주식수가 감소하지만 그만큼 주가가 오르기 때문에 얼만큼 손해를 볼지 그런 것은 아무도 모릅니다.

하지만 회사 재무구조가 좋지 않아서 위기 상황에 하는 것일수도 있기 때문에 좋지 않을 확률이 꽤 있습니다. 

 


 

투자란 항상 자신이 공부하고 판단하여 하는 만큼 자신이 책임을 지는 것입니다.

누구의 말도 휘둘리지 말고 내 돈 내가 잘 지키는 방법으로 투자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