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

[주린이의 주식 공부] - 호가, 지정가 주문, 시장가 주문

반응형

안녕하세요. 취업한 공대누나입니다.

주린이가 되어 주식을 매수하려고 주식 매수 창에 들어갔더니 호가, 지정가, 시장가, 기타 주문 등

낯선 용어들이 많습니다. 한 번 차근차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호가란?

주식을 매매하기 위해서는 호가를 제시해야 합니다.

호가는 부를호에 값가를 써서 "가격을 부른다"라는 말입니다.

주식 시장에서 호가란 주식을 사고팔기 위해 가격과 수량을 제시하는 것을 말합니다.

여기서 주식을 팔 때(매도) 부르는 호가를 매도 호가라 하고, 주식을 살 때(매수) 부르는 가격은 매수 호가라고합니다. 

영어로는 매수호가는 Bid price, 매도호가는 Offered price라고 입니다.

팔자 주문 중에서 제일 낮은 호가(유효 매도호가)사자 주문 중에서 가장 높은 호가(유효 매수호가)가 일치할 때 체결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호가 가격단위는 가격대별로 호가할 수 있는 최소단위의 가격을 말합니다.

기준가 거래소 코스닥
1,000원 미만 1원 1원
1,000원 이상 5,000원 미만 5원 5원
5,000원 이상 10,000원 미만 10원 10원
10,000원 이상 50,000원 미만 50원 50원
50,000원 이상 100,000원 미만 100원 100원
100,000원 이상 500,000원 미만 500원
500,000원 이상 1,000원

 

현재 주가가 80000원인 주식을 예로 들면, 가격단위가 100원에 해당하므로 80100원, 80200원과 같은 단위로 호가를 제시해야 하는 것입니다.


2. 주식 매매주문 방법

1) 지정가 주문

가장 기본적인 주문 방식입니다.

내가 원하는 종목의 수량과 가격을 지정하여 내는 주문입니다.

내가 원하는 가격에서 원하는 수량만큼 주문을 걸어두고 기다리는 것인데요.

예를 들어서 내가 79,500원에 매수 주문을 넣었는데 아무도 해당 가격에 매도 하지 않으면 주문이 성사되지 않게 됩니다. 

 

지정가 주문을 낸 후 현재 시세가 호가와 맞지 않으면 호가를 정정하여 다시 주문을 냅니다.

주문 가격이 현재 매수 호가에 해당되는 가격이면 매수 호가에 주문 수량이 쌓이게 되며 주문 순서대로 체결되게 됩니다.

2) 시장가 주문

시장이 정하는 가격에 자동으로 주문이 이뤄지는 것을 말합니다.

내가 원하는 종목과 수량만 지정하고, 가격은 직접 정하지 않고 현재 시장에서 형성되고 있는 가격으로 매매주문을 내는 것입니다. 가격과 상관 없이 최우선으로 주문을 체결하려고 하여 큰 거래 비용을 지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3) 조건부 지정가 주문

투자자가 장중에 지정가 주문을 냈으나 지정한 가격에 체결되지 않았을 경우, 장마감 전 10분간의 동시호가 시간에 시장가 주문으로 전환되는 주문입니다. 

예를 들어서 내가 주식을 75,000원에 사겠다고 주문을 내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하지만 그 가격에 팔겠다는 사람이 나타나지 않으면 장마감 전 10분 전에 시장가 주문으로 바뀌는 것입니다.

 


저는 주로 시장가 주문으로 주문을 합니다.

하루에 사고 파는 것이 아니라 그냥 꾸준히 사 모으려고 하는 것이며 제가 사는 주식들의 가격은 크게 요동치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좀 더 주식을 전문적으로 하시는 분들이라면 당연히 지정가로 주문해서 하는 것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