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취업한 공대누나입니다.
오늘부터는 주식 관련 여러 가지 용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워렌버핏은 "ROE가 높은 기업을 주목하라. ROE 15% 이상을 매년 유지할 수 있다면 주요 투자대상이 될 수있다." 라고 말했다고 하는데요. 과연 워렌 버핏이 주요 지표로 언급한 ROA와 ROE는 무엇일까요?
우선 간단하게 말해서는 얼마를 투자해서 얼마를 벌었냐에 대한 개념이라고 이해하고 아래 글을 읽어주시면 훨씬 편합니다.
1. ROA (Return On Assets)
기업 수익률이라고도 하고 총자산수익률이라고도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총 자산은 주주 자본 뿐만 아니라 차입 자본을 합친 것입니다.
즉, 대출이나 투자등의 자본을 합친 총 자산을 기준으로 산출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내 자본 100원과 대출 100원으로 수익을 100원 올렸다면 ROA는 50%가 되는 것입니다.
2. ROE (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이라고 합니다.
기업의 자산은 위에서 언급했듯이 차입금과 자기자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주주들은 일반적으로 부채를 포함한 총자산수익률보다 자기자본으로 얼마나 수익을 내고 있는가에 대한 것이 더 중요합니다. 즉, 내가 투자한 돈으로 회사가 돈을 얼마나 벌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ROE가 타사에 비해 높다라는 것은 회사가 다른 회사보다 돈을 잘 벌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기업의 가치가 타사에 비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향후에 ROE가 높아진다는 것의 의미는 기업의 가치가 올라갈 것이며 주가도 상승할 것을 의미하게 됩니다.
따라서 우리는 종목을 선정할 때에 있어서 ROE를 반드시 체크하고 넘어가야 합니다. 갖고 있는 자본에 비해서 이익을 많이 낸다는 것은 그만큼 이익 창출을 잘하는 기업이라는 뜻이니까요. 하지만 ROE가 아무리 높아도 주가 자체가 너무 고평가가 되어 있다면 투자를 심각하게 고려해 보아야합니다.
여기서 잠깐 헷갈릴 수도 있는 자산과 자본의 개념에 대해 짚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자산은 자본과 부채로 구성이 되며 부채는 말 그대로 대출 개념입니다.
3. 기업들의 ROE 지표 확인하기
역시나 저는 제가 투자하고 있는 삼성전자의 ROE를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네이버 금융에서 원하는 종목을 검색해줍니다.
아래와 같은 창이 뜨게 되면 종목분석을 클릭해줍니다.
밑에 스크롤을 내리다 보면 주요재무정보 표에서 ROE ROA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의 표는 삼성전자의 ROA와 ROE입니다.
ROA와 ROE 모두 얼마를 투자해서 얼마를 벌었냐에 해당하는 수익성 평가 지표입니다.
경영 성과를 판단하고 이를 통해 투자를 하는데 참고하시면 됩니다.
'경제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린이의 주식 공부] - EV / EBITDA (0) | 2021.03.13 |
---|---|
[주린이의 주식 공부] - EPS와 PER (0) | 2021.03.11 |
[주린이의 주식 공부] - 호가, 지정가 주문, 시장가 주문 (0) | 2021.03.07 |
[직장인 경제 공부] 자산배분 - 레이달리오의 올웨더 포토폴리오 (0) | 2021.03.05 |
2021 삼성전자, 삼성전자우 배당금, 배당지급일, 특별배당 (0) | 2021.03.03 |